연말정산 근로소득 공제 계산 방법 확인하기
근로소득 공제란, 근로소득은 실제 필요경비를 확인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통상 소요될 것으로 보이는 표준 금액을 설정했습니다. 이것이 바로 근로소득 기본공제입니다.
이러한 근로소득 공제는 연말정산을 할 때 과세표준과 산출세액을 계산하는 데 적용됩니다. 오늘은 근로소득 공제 계산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2023년 연말정산 자동계산하기
연말정산 총급여액이란 ?
근로소득 공제는 근로자의 총급여액에 적용됩니다. 총급여액이란, 1년 근로소득에서 비과세 소득을 뺀 금액을 뜻합니다. 비과세 소득은 소득세법 제12조 제3호에서 규정하는 소득을 뜻합니다.
근로소득 공제율
이와 같은 총급여액의 일정 비율로 근로소득 공제가 적용됩니다. 근로소득 공제율은 아래와 같습니다.
총급여액 | 근로소득 공제 금액 |
500만원 이하 | 총급여액의 70% |
500만원 초과 ~ 1,500만원 이하 | 350만원 + 500만원 초과하는 금액의 40% |
1,500만원 초과 ~ 4,500만원 이하 | 750만원 + 1,500만원 초과하는 금액의 15% |
4,500만원 초과 ~ 1억원 이하 | 1,200만원 + 4,500만원 초과하는 금액의 5% |
1억원 초과 | 1,475만원 + 1억원 초과하는 금액의 2% |
근로소득 공제액은 2,000만원을 한도로 합니다.
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바로가기
근로소득 공제 계산
총급여액에서 근로소득 공제를 차감해 산출된 금액을 근로소득 금액이라고 합니다. 예시를 통해 근로소득 금액 계산을 해보겠습니다.
근로소득 금액 확인방법
- 총급여액 400만원 : 400만원 - (400만원 X 70%) = 120만원
- 총급여액 1,000만원 : 1,000만원 - {350만원 + (500만원 X 40%)} = 450만원
- 총급여액 1억 5,000만원 : 1억 5,000만원 - {1,475만원 + (5,000만원 X 2%)} = 1억 3,425만원
근로소득 과세표준
예시에서 계산된 120만원, 450만원, 1억 3,425만원이 바로 근로소득 과세표준입니다.
'질병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말정산 자녀 세액공제 나이 출생년도 확인하기 (0) | 2023.11.20 |
---|---|
연말정산 부양가족 인적공제 기준 기본공제 요건 부양가족공제 대상 나이요건 배우자공제 확인하기 (0) | 2023.11.20 |
연말정산 종교 종교단체 지정 기부금 등 기부금 소득공제 세액공제 한도 확인하기 (0) | 2023.11.20 |
고용노동부 근로기준법 통상임금 계산 퇴직금 산정기준 및 계산법 계산방법 산정방법 확인방법 (0) | 2023.11.17 |
대장내시경 크린뷰올산 쿨프렙산 복용법 반응시간 확인하기 (0) | 2023.11.17 |